中관영매체 "日, 후과 책임져야…제재, 정부교류 중단 나설 수도"

[서울=뉴시스]이혜원 기자 = 중국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무력 개입' 시사 발언에 비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중국 관영 중국중앙(CC)TV 계열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15일 논평에서 중국의 태도가 '즉시 내정 간섭을 중단하라'에서 '그렇지 않으면 모든 후과를 일본이 책임져야 한다'고 바뀌었다고 경고했다.
매체는 중국 외교부 부부장을 포함해 부처가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을 공개 비난했다며 "중국의 핵심 국가이익과 민족 존엄을 건드린 중대한 문제로 규정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매체는 "중국은 이미 일본에 대한 실질적 반제재 준비를 마쳤다"며 "'모든 후과'는 국제법과 국제 관행에 부합하는 모든 조치를 뜻한다"고 부연했다.
구체적으로 "중국은 대만 문제 관련해 광범위한 제재 경험이 있다. 기존 제재 명단 중 80%가 대만 문제와 관련 있으며, 그중 상당수는 일본 정치인"이라며 "필요하다면 언제든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경제, 외교, 군사 분야에서 정부 간 교류도 중단될 수 있다며 "중국 외교부가 일본 방문 자제령을 공식 발표한 건 사태가 이미 실질적 위협으로 공식 규정됐음을 의미한다"고 조명했다.
특히 샹하오위 중국국제문제연구원(CIIS) 연구원을 인용해 "정면 충돌 타격은 외교적 표현이면서 동시에 군사적 의미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 일부 인사들은 자기 과대망상에 빠져 살지 말고, 거울을 보고 자신의 무게나 판단하라"며 "하지 말아야 할 짓을 하면 죽는다. 어떤 일은 정말 해선 안 되는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국회에서 중국의 대만 해상 봉쇄 관련 "전함을 사용한 무력행사가 수반된다면, 이는 아무리 생각해도 (일본의) 존립 위기 사태가 될 수 있는 경우"라고 표명했다.
일본은 존립 위기 사태의 경우 집단적 자위권을 사용할 수 있다. 일본 총리가 공개 석상에서 대만 유사시 개입할 가능성을 언급한 건 처음이다.
중국 정부는 "내정에 대한 무례한 간섭이자, 국제법과 국제 관계의 기본 원칙을 심각하게 위반했다"며 강하게 항의했다. 쉐젠 주일 오사카 중국 총영사는 소셜미디어에 "다카이치 총리의 목을 베겠다"는 취지의 글까지 올렸다.
주일 중국 대사관은 14일 밤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 자제령을 내리고, 일본에 있는 경우 현지 안전 상황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라고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y1@newsis.com
Tomas Kauer - News Moderator